11일 안산 상록수역 광장에서 윤화섭 경기 안산시장이 6.1 지방선거 출마를 선언하며 재임기간 동안 치적을 내세우자 시민단체가 반발하고 나섰다.
먼저 세월호 참사와 관련, 416 생명안전공원 국제설계공모에서 200억원이 넘는 국비를 따내 300억원대 화랑유원지 명품화 사업을 추진했다는 발표에 대해 시민단체 K모씨는“지난 선거에서 세월호 납골당 관련 문제를 시민에게 물어보고 결정하겠다던 윤화섭 예비후보가 막상 당선이 되자 화랑지킴이가 157회나 시청정문 앞에서 집회를 개최하며 추모공원 장소이전을 주장했지만 면담조차 해 주지 않는 불통행정을 해 온 바 있다.”며“안산시의 미래를 추모도시로 만들려는 음모를 시민들도 알지 못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현재 안산시 단원구 소재 화랑유원지 내 건립중인 각종 시설물의 중심지에는 2014년 4월 16일 팽목항 앞바다에서 침몰한 세월호 희생자들의 유골이 봉안될 예정이지만 대외적으로는 초지역세권 개발이라는 화려한 조감도에 가려진채 기타 부대공사가 추진 중이다.
현재 윤화섭 예비후보는 지난해 12월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90만 원 벌금형을 받은 데 대해 더불어 민주당의 자치단체장 후보 심사를 위한 컷오프 통과 여부가 주목된다는 지역 언론의 기사가 단체장으로서 도덕성에 대한 의문을 갖게 하고 있으며 벌금형도 실형이라는 점에서 공천심사위원들의 잣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특히 안산시민연대가 금년 1월 발표한 민선7기 평가를 위한 설문 조사 결과 시정 전반 만족 질문에 5점 기준 평균 1.9점과 신뢰감 1.8점, 시정 운영 시 소통 부재와 일방적 일처리를 손꼽으면서 불통 행정에 대한 여론이 반영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또 다른 시민 정모씨는 “윤화섭 예비후보는 지난 2018년 당선 이후 2년 동안 10회 이상 해외공무를 다니면서 시간상 시정의 공백을 초래할 가능성을 가진 바 있다.”며“경기도의장 시절에도 해외공무로 의장직까지 상실했으면서 시장자리가 혈세로 해외나 다니는 자리는 아님을 알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 밖에 민주노점상전국연합, 경기민중행동은 지난 12일오후 1시 더불어 민주당 경기도당 앞에서 집회를 개최,더불어민주당 소속인 윤화섭 안산시장은 전국 유일하게 도시 전체를 집회금지구역으로 설정하고 안산시 내에서는 어떠한 집회도 개최할 수 없도록 했다며 독재와도 같은 시정을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안산시청은 억대의 세금을 들여 용역깡패를 고용하고 과도한 과태료를 부과하는 등 폭력적으로 탄압하고 있다며 .반민생 반민주적 인사에 대한 공천권을 행사하지 않도록 더불어 민주당 경기도당에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개최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이들은 안산시가 용역깡패들을 고용해서 세달 만에 1억이 넘는 혈세를 낭비하며 현장에서 영업방해 행위는 물론 시민들과의 다툼까지 벌이며 위화감을 조성하고 있다며 상인들의 정보를 취득해 30만원에서 150만원에 달하는 과태료 폭탄을 날리고 있다고 분노를 표했다.
한편 윤화섭 예비후보는 정책보좌관 A 모씨가 대낮에 술판을 벌였다는 사건과 관련, 사실을 보도한 언론을 상대로 명예가 훼손되었다며 고소를 제기, 현재 소송 중에 있으며 해당 보좌관 또한 동일사건으로 형사 소송을 진행 중에 있다. 현재 해당 언론사는 윤화섭 예비후보를 상대로 무고죄로 고소할 예정이며 향후 재판진행여부에 따른 결과에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